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메인이동

소장 자료검색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통합검색

한반도 유사시 북한 지역 관할권 행사의 정당성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반도 유사시 북한 지역 관할권 행사의 정당성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자료유형
학위논문
서명/저자사항
한반도 유사시 북한 지역 관할권 행사의 정당성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정대진 저.
개인저자
정대진
발행사항
서울:연세대학교 대학원,2014.
형태사항
viii, 164 p. :표, 삽화 ;26 cm
총서사항
박사학위논문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 (박사)연세대학교 대학원 :통일학협동과정 정치행정전공,2014.6.
학과코드
학위논문 (박사)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21-134
이용제한사항
일반
요약
국ㆍ영문요약수록
부록주기
권말부록수록
비통제주제어
논문, 학위논문, 박사학위, 한반도 유사시, 관할권, 개입, 자결권, 남북한 특수관계론, 남북한 합의, UN결의,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소장처 등록번호 청구기호 도서상태
1 북한자료센터 / 7층 논문서가 EM66089 TD 041 정23 서가배치
2 북한자료센터 / 7층 논문서가 EM66090 TD 041 정23 c.2 서가배치
목차

목 차

<제목 차례> = i
<표 차례> = v
<국문 요약> = vii

제1장 서론 = 1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1.2. 선행연구 검토 = 4
   1.3.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2

제2장 한반도 유사시 개입 및 관할권 관련 법적 문제 = 17
   2.1. 한반도 유사시의 의의 = 17
     2.1.1. 한반도 유사시의 법적 개념 = 17
     2.1.2. 한반도 유사시 외부 개입의 법적 요건 = 23
     2.1.3. 한반도 유사시 외부 개입의 법적 논점 = 25
       2.1.3.1. 외부 개입의 판단주체 = 26
       2.1.3.2. 외부 개입의 범위 = 33
       2.1.3.3. 외부 개입의 정당화 필요성 = 35
   2.2. UN 및 주변국의 개입과 관할권 행사 적격성 = 38
     2.2.1. UN 및 주변국의 개입적격 및 관할권 행사 = 38
     2.2.2. UN 및 주변국의 개입 정당성 근거 = 39
   2.3. UN 및 주변국의 개입과 관할권 행사 전망 = 50
     2.3.1. UN 중심의 공동 개입 및 관할권 행사 = 50
     2.3.2. 주변국 단독 개입 및 관할권 행사 = 54
       2.3.2.1. 미국의 단독 개입 및 관할권 행사 = 55
       2.3.2.2. 중국의 단독 개입 및 관할권 행사 = 57
       2.3.2.3. 일본의 단독 개입 및 관할권 행사 = 59
       2.3.2.4. 러시아의 단독 개입 및 관할권 행사 = 61
     2.3.3. 한국의 단독 개입 및 관할권 행사 = 63

제3장 한국의 자결권을 근거로 한 관할권 행사 = 65
   3.1. 국제법상 자결권의 현대적 경향 = 65
   3.2. 한반도 유사시 자결권 행사 주체: 전체로서의 한국 = 70
     3.2.1. '전체로서의 한국' 이론의 의의 = 70
     3.2.2. '전체로서의 한국' 차원의 북한 지역 관할권 확보 = 77
   3.3. 한반도 유사시 자결권에 근거한 관할권 행사 목적 = 82

제4장 남북한 특수관계론 및 합의를 근거로 한 관할권 행사 = 85
   4.1. 남북한 특수관계론의 의의 = 85
     4.1.1. 남북한 특수관계론의 개념 = 85
     4.1.2. 남북한 특수관계론의 실행 사례 = 86
   4.2. 남북한 합의 : 남북한 특수관계론 및 자결권의 법적 표현 = 89
     4.2.1. 남북한 합의의 규범적 성격 = 89
     4.2.2. 북한 지역 관할권 행사 근거로서의 남북한 합의 = 94
       4.2.2.1. 남북한 합의의 역사적 구조: 4주체제(four-pillar structure) = 94
       4.2.2.2. 제1기둥: 1972년 7•4남북공동성명 체제(1970~1980년) = 95
       4.2.2.3. 제2기둥: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체제(1990년대) = 99
       4.2.2.4. 제3기둥: 6•15남북공동선언 체제(2000년대 전반기) = 101
       4.2.2.5. 제4기둥: 10•4남북정상선언 체제(2000년대 중후반기) = 105
   4.3. 남북한 특수관계론 및 합의를 근거로 한 관할권 행사 = 106

제5장 '한국 문제' 관련 UN 결의를 통한 관할권 행사 = 109
   5.1. '한국 문제' 관련 UN결의 개요 = 109
   5.2. '한국 문제' 관련 UN결의 현황 = 111
     5.2.1. 해방 후 국가 건설 관련 결의 = 111
     5.2.2. 한국전쟁 중 집단 안보 차원 결의 = 112
     5.2.3. 전후 한국문제 토의를 위한 결의 = 113
   5.3. 한국의 북한 지역 관할권 근거로서의 UN결의 = 116

제6장 결론 = 117

참고문헌 = 121

부록 = 135
   1. 남북한 합의서 목록(1971-2013) = 135
   2. 7•4남북공동성명 = 151
   3.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남북기본합의서) = 153
   4. 6•15남북공동선언 = 157
   5. 남북관계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10•4남북정상선언) = 159

ABSTRACT = 163

서평
  •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