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메인이동

소장 자료검색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통합검색

북한ㆍ중국관계 60년 :'순치관계'의 구조와 변용
북한ㆍ중국관계 60년 :'순치관계'의 구조와 변용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북한ㆍ중국관계 60년 :'순치관계'의 구조와 변용 /히라이와 슌지 저;이종국 역
개인저자
히라이와 슌지
이종국
발행사항
서울:선인,2013.
형태사항
477 p. ;23 cm
ISBN
9788959336128(양장본)
서지주기
색인수록
이용제한사항
일반
원서명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と中華人民共和国 :「唇歯の関係」の構造と変容
비통제주제어
북중관계,
일반용주기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소장처 등록번호 청구기호 도서상태
1 북한자료센터 / 5층 국내서 EM64282 349.11012 히292ㅂ 서가배치
목차


서장. 목적과 분석 시각 17

제1장. 중국인민지원군 철수와 타이완 해협위기 -중국에게 있어서 북한-
문제의 소재 31
1. 북한문제와 타이완문제-중국에게 있어서 한국전쟁 32
2. 제1기 인민지원군철수와 제1차 타이완 해협위기 41
3. 인민지원군 철수 중단 및 8월 전원회의 사건의 의미 52
4. 제2기 인민지원군 철수와 제2차 타이완 해협위기 61
결어 70

제2장.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과 대미인식의 공유과정 -북한에게 있어서 중국-
문제의 소재 73
1. 평화공존노선을 둘러싼 인식의 차이 75
2. 북한의 평화적 통일노선-반제반봉건 민주주의 혁명에 대한 기대 84
3. 북한의 미국인식 수정-한국군사 쿠데타에 대한 평가의 변화 92
4. 두 개의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 99
5. 결어: 조선노동당 제4차대회에 있어서 ‘남조선혁명’노선 108

제3장. 중소논쟁과 북한의 혁명노선 -중·조관계의 상한-
문제의 소재 115
1. 소조관계의 악화-다원적 사회주의 진영의 단결 118
2. 중조공동성명과 ‘교조주의’ 비판 124
3. 주체의 승인과 중국비판-중조관계의 한계 130
4. 북한의 사회주의 노선 138
결어 152

제4장. 양국 관계 수복의 정치역학 -중·조관계의 하한-
문제의 소재 155
1. 후르시초프 이후 소련의 인식 차이 158
2. ‘주체’의 체계화와 중국·북한관계의 악화 168
3. 문화대혁명의 개시와 ‘자주노선’ 선언 174
4. 관계회복의 정치 역학-최용건, 김일성의 비밀 방문 185
결어 194

제5장. 미중 접근과 북한의 대미 직접교섭 제안 -‘순치(脣齒)의 관계’ ‘전통적 우호’의 이완-
문제의 소재 199
1. 미·중 접근과 저우언라이의 비밀방문 201
2. 북한의 인식 수정 211
3. 중국에게 있어서 ‘한반도문제의 한반도화’ 217
4. 대미 직접 교섭의 역학 226
결어 233

제6장. 개혁개방노선과 체제유지의 상극 -중국과 다른 선택-
문제의 소재 237
1. 중조가 목표로 한 각자의 길 240
2. 개혁개방 노선의 모색 245
3. 김정일의 개혁개방노선 인식 251
4. 톈안먼(天安門) 사건과 북한의 체제유지 262
결어 270
[보론] 중국의 개혁개방노선과 북한의 경제개혁 비교
1. 정치체제 및 의사결정과정 272
2. 국제환경 277
3. 북한의 경제개혁의 가능성과 방향성 280

제7장. 중조관계의 구조적 변질 -한ㆍ중 국교정상화-
문제의 소재 285
1. 중국에게 있어서 북한-3자 회담 제안의 의미 287
2. 소련과 한국의 국교정상화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의 구조적 변화 295
3. 한반도의 현상승인-남·북한 관계의 진전과 유엔동시가맹 303
4. 새로운 균형 속의 중국-중한 국교정상화 316
결어 324

제8장. 전통적 관계의 종언 -김일성 사후의 중국·한반도관계-
문제의 소재 329
1. 제한된 중한관계의 진전 331
2. 김일성 사망과 인민지원군의 완전철수-전통적 관계의 종언 338
3. 김일성 사후 중한관계의 진전-리펑(李鵬), 장쩌민의 방한 347
4. 김정일시대의 중조관계와 대만 354
결어 361

제9장. 2국관계로부터 다국 간 관계로 -한반도와 중국의 새로운 관계-
문제의 소재 365
1. ‘순치의 관계’에서 ‘미묘한 관계’로-‘포용정책’과 중국의 한반도 정책 367
2. 한중 국교정상화 이후 중조관계의 기본구조-중국에게 있어서 한반도 평화와 안정 378
3. 제2차 핵위기를 둘러싼 중국의 동향-기본구조를 넘는 중국의 적극자세 382
4. 6자회담과 중조 정상회담-중국에게 있어서 두 개의 위기에 대한 대처 390
5. 미사일 발사실험, 핵실험과 중국 498
결어 407

[보론] 국교수립 60주년 중조관계
1. 6자회담의 역할 저하와 중국-BDA 문제의 의미 411
2. 미북협의의 선행과 중국의 불만 413
3. 북한의 강경자세-중국의 어려운 입장 414
4. 미사일 발사실험과 핵실험을 둘러싼 중조관계 416
5. 국교60년을 둘러싼 북한과 중국-우호국으로서의 2국 간 관계 417
6. ‘초조함’을 쌓아 온 중조 60년 420

종장. ‘순치의 관계’의 사적 전개와 구조적 변용
1. ‘순치의 관계’의 역사적 전개 423
2. ‘순치의 관계’의 구조적 변용 429
3. 중국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둘러싼 두 가지 오해 433
4. 북한외교의 묘-유사적 대등관계로서의 중조관계 438

후 기 443
북한-중국관계연표 449
찾아보기 471

서평
  •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北朝鮮とイラン 北朝鮮とイラン 福原裕二,吉村慎太郎 著 集英社 2022
朝鮮半島の地経学 : 「新冷戦」下の模索 朝鮮半島の地経学 : 「新冷戦」下の模索 伊集院敦,日本経済研究センター 編著 文眞堂 2022
北朝鮮拉致問題 : 極秘文書から見える真実 北朝鮮拉致問題 : 極秘文書から見える真実 有田芳生 著 集英社 2022
日本と韓国・朝鮮の歴史 : これだけは知っておきたい 日本と韓国・朝鮮の歴史 : これだけは知っておきたい 中塚明 著 高文研 2022
한반도 평화번영과 북일관계 연구 한반도 평화번영과 북일관계 연구 이기태,배정호 KINU(통일연구원) 202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