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메인이동

소장 자료검색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통합검색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유연성에 관한 통합적 연구 =A Quanti-qualitative Study on Resilience which Affects the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South Korea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유연성에 관한 통합적 연구 =A Quanti-qualitative Study on Resilience which Affects the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South Korea
자료유형
학위논문
서명/저자사항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유연성에 관한 통합적 연구 =A Quanti-qualitative Study on Resilience which Affects the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South Korea /김윤나 저
개인저자
김윤나
발행사항
서울:중앙대학교,2007.
형태사항
148 p. :표, 삽화 ;26 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박사)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청소년전공,2007
학과코드
학위논문(박사)
서지주기
참고문헌: p.123-133
이용제한사항
일반
요약
영문요약수록
초록
국문초록수록
부록주기
권말부록: 연구 질문지 등
비통제주제어
북한이탈청소년, 논문, 박사논문, 박사학위,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소장처 등록번호 청구기호 도서상태
1 북한자료센터 / 7층 논문서가 EM62578 TD 041 김66ㅂ 서가배치
2 북한자료센터 / 7층 논문서가 EM62579 TD 041 김66ㅂ c.2 서가배치
목차

목차
I. 서론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제2절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8
  제3절 연구의 의의 --- 9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제1절 북한이탈 청소년 --- 9
    1. 북한이탈 청소년의 개념 및 현황 --- 9
    2. 북한이탈 청소년을 위한 정책 및 서비스 현황 분석 --- 14
  제2절 문화적응에 관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 23
    1. 문화적응의 개념 및 정의 --- 23
    2. Berry의 문화적응 이론에 대한 고찰 --- 25
    3.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8
  제3절 적응유연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 37
    1. 적응유연성의 개념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 37
    2. 적응유연성과 문화적응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 40


III. 연구방법
  제1절 실용주의에 기초한 통합적 연구방법 --- 46
  제2절 연구대상 및 절차 --- 49
    1. 정량적 연구 --- 49
    2. 정성적 연구 --- 50
  제3절 측정도구 --- 52
    1. 북한이탈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52
    2.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척도 --- 53
    3. 북한이탈 청소년 문화적응 측정도구 --- 56
    4. 문화통합형으로 분류된 북한이탈 청소년에 대한 면접 질문지 --- 57
  제4절 자료처리 --- 59
    1. 정량적 연구 --- 59
    2. 정성적 연구 --- 60


IV. 연구결과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62
  제2절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화적응 유형 --- 64
    1. Berry.의 문화적응 이론에 따른 문화적응 유형 --- 64
    2. 문화적응 유형별 비교분석 --- 67
  제3절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 71
  제4절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유연성 --- 76
  제5절 적응유연성을 강화시키는 상황 및 맥락적 조건 --- 81
    1. 탈북 이전 단계 --- 81
    2. 제3국 체류 단계 --- 86
    3. 국내 입국 정착 단계 --- 90


V. 결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 108
  제2절 연구의 함의 --- 114
    1. 이론적 함의 --- 114
    2. 실천적 함의 --- 116
    3. 정책적 함의 --- 119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120


참고문헌 --- 123
<부록1> --- 134
<부록2> --- 139
국문초록 --- 140
ABSTRACT--- 144

서평
  •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