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메인이동

소장 자료검색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통합검색

통일과정에서 남북한 군사통합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Military Integration North and South Korea about to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통일과정에서 남북한 군사통합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Military Integration North and South Korea about to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통일과정에서 남북한 군사통합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Military Integration North and South Korea about to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임상진 저.
개인저자
임상진
발행사항
서울: 동국대학교, 2003.
형태사항
138p.: 도표; 26 cm
이용제한사항
일반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소장처 등록번호 청구기호 도서상태
1 북한자료센터 / 7층 논문서가 EM45697 TM 041 임51ㅌ 서가배치
목차

[한글]제1장 서론

제2장 군사통합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1절 군사통합의 개념
1. 통합의 정의
2. 군사통합의 개념
제2절 군사통합의 유형 및 전제조건
1. 군사통합의 유형
2. 군사통합의 전제조건
제3절 분석의 틀

제3장 유형별 군사통합 사례분석
제1절 독일의 군사통합 사례 및 시사점
1. 분단과 통일과정
2. 군사통합 과정
3. 남북 군사통합에 주는 시사점
제2절 예멘의 군사통합 사례 및 시사점
1. 분단과 통일과정
2. 군사통합 과정
3. 남북 군사통합에 주는 시사점
제3절 베트남의 군사통합 사례 및 시사점
1. 분단과 통일과정
2. 군사통합 과정
3. 남북 군사통합에 주는 시사점
제4절 제 유형의 비교분석 및 시사점

제4장 남북한 군사통합의 방향 및 방안
제1절 남북한 군사통합의 영향요인
1.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2.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3. 일본의 대한반도 정책
4.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
제2절 남북한 군사통합의 기본방향
제3절 단계별 군사통합방안
1. 제1단계 : 준비 단계
가. 남북한 군사통합 여건 조성
나. 통일한국의 안보정책 및 군사전략 구상
다. 군사정보의 교환 및 군사교류 활성화
라. 남북 군사직통전화 설치
마. 남북 군사당국자간 회담 정례화
바.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
사. 비무장지대의 평화 지대화
아. 남북한 군축을 통한 신뢰구축
2. 제2단계 : 통합 단계
가. 군사통합의 원칙
나. 통합추진기구 설치 및 운영
다. 통일 한국군의 적정 군사력
라. 군 구조의 개편
마. 군사교육의 통합
바. 무기체계의 통합
3. 제3단계 : 정착 단계
가. 동질성 회복방향
나. 병역제도 개선
다. 군내파벌 형성 방지
라. 남북한 전역장병 처리
마. 도태되는 장비, 무기의 처리
바. 통합국군의 역할

제5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영문]

서평
  •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