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메인이동

소장 자료검색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통합검색

체제불법 청산방안에 관한 헌법적 고찰 :구 동독과 북한의 체제불법을 중심으로
체제불법 청산방안에 관한 헌법적 고찰 :구 동독과 북한의 체제불법을 중심으로
자료유형
학위논문
서명/저자사항
체제불법 청산방안에 관한 헌법적 고찰 :구 동독과 북한의 체제불법을 중심으로 /김하중 저
개인저자
김하중
발행사항
서울:고려대학교 대학원,2008.
형태사항
xx, 469 p . ;26 cm
총서사항
박사학위논문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박사)--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2008
학과코드
학위논문(박사)--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 452-467
이용제한사항
일반
요약
독일문요약수록
비통제주제어
법치국가, 체제불법, 통일독일, 통일한국, 불법청산, 논문, 학위논문, 박사논문, 박사학위,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소장처 등록번호 청구기호 도서상태
1 북한자료센터 / 7층 논문서가 EM63610 TD 041 김92ㅊ 서가배치
목차


제1장. 연구개요 / 1
  I. 문제의 제기 / 1
  II. 연구대상 / 3
  III. 연구범위 / 8
  IV. 연구방법 / 12
  V. 연구방향 / 14
  VI. 연구전제 / 16


제2장. 체제불법 청산의 이론적 기초 / 18
제1절. 총설 / 18
제2절. 법치국가의 체제불법 / 19
  I. 법치국가와 非법치국가 / 19
    1. 법치국가 / 19
    2. 非법치국가 / 26
  II. 체제불법 / 28
    1. 의의 / 28
    2. 특징 / 29
    3. 유형 / 30
제3절. 체제불법의 청산 / 31
  .I. 서설 / 31
  II. 법률적 불법 / 32
    1. 의의 32
    2. 라드부르호의 법개념 / 33
    3. 영미에서의 논쟁 / 33
    4. 독일에서의 논쟁 / 36
    5. 소결 / 38
  III. 불법심사의 기준 / 41
    1. 자연법 / 41
    2. 헌법 / 41
    3. 국제법 / 42
    4. 非법치국가의 정당한 법률 / 44
  IV. 불법청산과 법가치의 충돌문제 / 45
    1. 충돌 상황 / 45
    2. 정의와 법적 안정성의 상관관계 / 46
  V. 불법청산의 유형 / 60


제3장. 통일독일의 불법청산 / 63
제1절. 불법청산의 개요 / 63
  I. 동독체제의 불법성 / 63
    1. SED의 일당독재 / 63
    2. 반법치국가적 독재체제 / 64
  II. 동독체제의 불법유형 / 66
    1. 침해법익에 따른 분류 / 66
    2. 범죄유형의 따른 분류 / 68
  III. 동독체제의 청산배경 / 69
    1. 정치적 배경 / 69
    2. 사회적 배경 / 70
    3. 역사적 배경 / 71
  IV. 불법청산의 과제 / 71
제2절. 법치국가적 불법청산 / 73
  I. 기본원칙 / 73
  II. 법치국가원리에 따른 이유 / 75
    1. 법적 이유 / 75
    2. 정치적 이유 / 77
    3. 사회적 이유 / 78
    4. 역사적 이유 / 78
    5. 법정책적 이유 / 79
    6. 법치국가적 불법청산의 딜레마와 한계 / 80
  III. 불법청산의 목표 / 81
    1. 법치국가의 건설 / 81
    2. 민주적 법치국가 / 83
    3. 사회적 법치국가 / 84
  IV. 다른 불법청산과의 차이 / 85
    1. 일반적 혁명재판과의 차이 / 85
    2. 나치 불법청산과의 차이 / 86
    3. 동구권 불법청산과의 차이 / 89
제3절. 내독기본관계와 불법청산 / 91
  I. 분단국의 불법청산 / 91
  II. 동서독 기본관계 / 92
    1. 전승국의 유보와 독일의 존속 / 92
    2. 학설의 입장 / 94
    3. 헌법재판소의 태도 / 94
  III. 동독주민의 법적 지위 / 97
  IV. 검토의견 / 98
제4절. 가해자 처벌 / 99
  I. 시작과 기초 / 99
    1. 청산의 시작 / 99
    2. 통일조약 / 100
    3. 청산의 기초 / 101
  II. 이론과 실무상의 쟁점 / 103
    1. 학계의 논의 / 103
    2. 실무상 쟁점 / 106
    3. 쟁점의 근원 / 111
  III. 준거법 결정 / 113
    1. 서언 / 113
    2. 법규의 불명확성 / 115
    3. 학설의 대립 / 117
    4. 판례: 형법시행법률 직접적용설 / 120
    5. 준거법 적용의 한계 / 122
  IV. 정당화사유의 제한 / 124
    1. 정당한 근거법규 / 124
    2. 학설과 판례 / 126
    3. 제한의 기준 / 129
    4. 소급효금지 위반여부 / 140
    5. 검토의견 / 143
  V. 공소시효 문제 / 144
    1. 문제의 제기 / 144
    2. 공소시효의 중단 / 146
    3. 공소시효의 정지 / 148
    4. 입법적 해결 / 158
    5. 공소시효의 사후적 변경과 합헌성 / 161
  VI. 기타의 헌법적 문제 / 168
    1. 서언 / 168
    2. 호네커 재판 / 169
    3. 사법종사자의 법왜곡 / 173
    4. 대서독 간첩행위 / 177
  VII. 가해자처벌의 준비 / 184
    1. 서언 / 184
    2. 중앙법무기록보존소 / 185
  VIII. 평가 / 195
제5절. 피해자 구제 / 197
  I. 서설 / 197
  II. 형사복권 / 198
    1. 역사적 고찰 / 198
    2. 형사복권의 내용 / 203
    3. 형사복권의 개별적 문제점 / 217
    4. 평가 / 220
  III. 행정복권 / 220
    1. 행정복권법의 제정 / 220
    2. 행정복권법이 개요 / 222
    3. 행정복권의 요건 / 223
    4. 행정복권의 이원성 / 225
    5. 형사복권법 및 직업복권법과의 관계 / 227
    6. 재산법과의 관계 / 228
  IV. 직업복권 / 230
    1. 직업복권법의 제정 / 230
    2. 직업복권의 개요 / 231
    3. 직업복권의 요건 / 232
    4. 직업복권의 효과 / 237
제6절. 몰수재산 처리 / 238
  I. 서설 / 238
  II. 문제해결의 기초 / 239
    1. 서언 / 239
    2. 공동성명(GemErkl) / 241
    3. 통일조약 / 241
  III. 재산권해의회복 / 244
    1. 침해와 원상회복 / 244
    2. 재산법(VermG) / 248
    3. 투자우선법(InVorG) / 256
    4. 손해배상 및 보상이행법(EALG) / 260
  IV. 헌법적 문제점 / 263
    1. 개관 / 263
    2. 재산권침해의 불법성 / 266
    3. 원상회복의 배제된 재산권침해 / 269
    4. 원상회복의 방법: 반환과 배상 / 274
    5. 투자우위의 원칙의 근거 / 281
    6. 손해배상액과 재원조달문제 / 283
제7절. 슈타지문서의 처리 / 286
  I. 서설 / 286
  II. 국가공안부의 정보수집 / 288
    1. 조직개요 / 288
    2. 활동개요 / 289
  III. 슈타지문서의 관리필요성 / 290
    1. 법률제정 / 290
    2. 주요내용 / 291
    3. 개정내용 / 294
  IV. 국가공안부문관리청 / 295
    1. 설립 / 295
    2. 임무 / 296
    3. 사생활보호 / 298


제4장. 통일한국의 불법청산 / 300
제1절. 총설 / 300
제2절. 북한의 체제불법 / 302
  I. 북한체제의 특성 / 302
  II. 체제불법의 태양 / 309
    1. 서언 / 309
    2. 북한주민에 대한 불법 / 310
    3. 남한에 대한 불법 / 316
    4. 외국인에 대한 불법 / 317
제3절. 불법청산의 법적 토대 / 320
  I. 서설 / 320
  II. 인간의 존엄성과 법치국가원리 / 321
  III. 북한의 법적 지위 / 322
    1. 검토의 필요성 / 322
    2. 북한의 국가성 / 323
    3. 판례의 입장 / 326
    4. 남북한 특수관계론 / 329
    5. 검토의견 / 322
  IV. 북한주민의 법적 지위 / 334
제4절. 가해자 처벌 / 336
  I. 서설 / 336
  II. 죄형법주의 / 338
    1. 서언 / 338
    2. 소급입법의 금지 / 339
    3. 불법의 연계성 / 340
  III. 준거법 문제 / 343
    1. 서언 / 343
    2. 이론적 검토 / 344
    3. 입법론적 검토 / 350
    4. 경한 법률 우선의 원칙 / 351
    5. 준거법 적용의 한계 / 352
  IV. 정당화사유의 문제 / 355
    1. 서언 / 355
    2. 정당화사유의 제한 / 356
    3. 소급효 문제 / 361
    4. 소결 / 363
  V. 공소시효 문제 / 364
    1. 서언 / 364
    2. 북한의 형벌권을 부인하는 경우 / 365
    3. 북한의 형벌권을 인정하는 경우 / 366
    4. 시효정지법의 제정 / 367
    5. 공소시효의 잠정적 연장 / 373
  VI. 기타의 헌법적 문제 / 374
    1. 대남첩보활동 / 374
    2. 국가행위이론 / 379
    3. 법왜곡, 선거부정 등 / 380
  VII. 북한불법 감시기구 설립 / 381
제5절. 몰수토지 처리 / 383
  I. 북한의 토지개혁 / 383
    1. 서언 / 383
    2. 북한지역 토지제도의 개관 / 384
  II. 몰수토지의 처리와 법치국가원리 / 396
    1. 법적 문제 / 396
    2. 몰수재산 처리시 고려사항 / 406
  III. 몰수토지 처리방안 / 411
    1. 서언 / 411
    2. 원소유자에 대한 반환방안 / 412
    3. 보상방안 / 413
    4. 재국유화 방안 / 415
    5. 북한주민 소유방안 / 418
    6. 소결 / 419
  IV. 통일한국의 몰수토지 처리방안 / 420
제6절. 피해자의 구제 / 423
  I. 서설 / 423
  II. 형사복권 / 425
    1. 서언 / 425
    2. 형사복권의 대상 / 427
    3. 형사복권의 절차와 효과 / 430
    4. 사회적 조정급부청구권 / 433
    5. 소결 / 436
  III. 행정복권 / 437
    1. 필요성 / 437
    2. 대상과 요건 / 438
    3. 절차와 효과 / 439
    4. 심사기준 / 439
  IV. 직업복권법 / 440
  V. 소결 / 441
제7절. 기밀문서의 관리 / 442


제5장. 결론 / 444


참고문헌 / 452

서평
  •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