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호감 지수 개발 : 현 수준 및 개선방안 도출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번호 | 소장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도서상태 | 서비스 |
---|---|---|---|---|---|
1 | 북한자료센터 / 7층 논문서가 | EM4538 | TM 041 오64ㅂ | 서가배치 | 출력 |
2 | 북한자료센터 / 7층 논문서가 | EM4542 | TM 041 오64ㅂ c.2 | 서가배치 | 출력 |
국문요약-vi
제1장 서론-1
제1절 연구목적-1
제2절 연구범위-1
제3절 이론적 논의-3
1. 연구방법(북함호감지수 정의)-4
제2장 북한 호감 지수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7
제1절 북한 호감 지수 추이-7
1. 북한 호감 지수 추이-7
제2절 지수 영향 인자 발굴 및 데이터 분석-8
1. 영향 인자 발굴(통계자료/분야별/국가별)-8
2. 인자간 데이터 분석(다변량분석)-10
가. 미시적 잠재인자(주요통계 자료)-10
나. 분야별 잠재인자(정치/경제/사회문화외)-11
다. 국제관계 잠재인가(남북/주변국가외)-12
라. 분야별&국제관계 잠재인자(주요일지 자료)-13
3. 지수/인자간 데이터 분석(상관분석)-14
가. 미시적 잠재인자(주요통계 자료)-14
나. 분야별 잠재인자(정치/경제/사회문화외)-25
다. 국제관계 잠재인자(남북/주변국가외)-34
제3절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인자 선정-54
1. 잠재인자 우선순위화-54
2. 핵심인자 선정(선박운항. 탈북민인원, 경제IT, 남북합의)-56
제4절 지수 개선전략 수립 및 핵심인자 최적안 결정-58
1. 핵심인자 특성에 따른 지수 개선전략 수립-58
가. 핵심인자별 단순회귀 적합모형-60
나. 핵심인자군별 다중회귀 적합모형-66
2. 지수 개선을 위한 핵심인자 최적안 결정-75
제5절 2017년 지수 기준 회귀방정식 적합모형별 검증-76
1. 적합모형별 최적안 검증(2017년 기준)-76
가. 핵심인자 1개(선박운항)-76
나. 핵심인자 2개(탈북민인원외)-77
다. 핵심인자 3개(선박운항, 탈북민인원외)-78
2. 지수 목표달성을 위한 핵심인자 관리계획 수립-80
제3장 결론-81
참고문헌-83
ABSTRACT-86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
![]() |
북한 군중노선에 관한 연구 : 대중운동을 중심으로 | 김충환 저 | 북한대학원대학교 | 2020 |
![]() |
남북한 자연재난 협력의 법제도 연구 | 오형근 저 | 국민대학교 | 2018 |
![]() |
신문 말뭉치를 활용한 남북한 어휘 대조 연구 | 박명수 저 | 연세대학교 | 2018 |
![]() |
북한의 악단 변화연구 (1945~2018) | 하승희 저 | 북한대학원대학교 | 2019 |
![]() |
북한 예술영화의 '행동'과 '감정' 분석 | 김정수 저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