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메인이동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아시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 :2012 마닐라 제13회 세계한민족포럼, 2012년 6월 25~26일, 마닐라 에드사 샹그릴라
아시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 :2012 마닐라 제13회 세계한민족포럼, 2012년 6월 25~26일, 마닐라 에드사 샹그릴라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아시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 :2012 마닐라 제13회 세계한민족포럼, 2012년 6월 25~26일, 마닐라 에드사 샹그릴라 /국제한민족재단 출판국 우리시대 편
단체저자명
국제한민족재단 출판국 우리시대;
발행사항
서울:국제한민족재단 출판국 우리시대,2012.
형태사항
488 p. :표, 사진 ;25 cm
대등표제
Achieving the Asia vision peace and prosperity through Korean reunification
책등표제
아시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 :
ISBN
9788997346011
이용제한사항
일반
회의명
2012 마닐라 제13회 세계한민족포럼(2012년 6월 25~26일:마닐라 에드사 샹그릴라)
비통제주제어
한반도 통일, 한반도 정세, 한반도 국제정치, 한반도와 국제관계, 다문화 사회,
일반용주기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소장처 등록번호 청구기호 도서상태
1 북한자료센터 / 5층 국내서 EM63422 SS 349.11 국74ㅇ 서가배치
목차


Day 1


OPENING SESSION 아시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

아시아의 안정과 미래를 위한 한반도 평화 통일 - 이창주(Tshang Chu RHEE)
Discuss over the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 Peninsula for Stability and Future in Asia
한반도 통일을 위해 지금 우리는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 이인제
What Can Be Prepared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 In Je RHEE

아시아 개발을 위한 지역연대와 국제적 협력 - Alfredo E. PASCUAL
Regional Solidarity and Global Cooperation for Asian Development

동북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 - 이종석
Northeast Asia’s Peace and Prosperity an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Jong Seok LEE

한반도 시계와 동아시아 - 이창주
View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 - Tshang Chu RHEE


SESSION 1 한반도 통일 담론 논쟁 과제

한반도 통일의 실천적 방향과 과제 - 양병기
Practical Direction and Challenges of Reunification - Byung Kie YANG

한반도 통일모델과 목표: 국제적 경험 사례로 본 교훈 - 박영호
A Case Study of International Experience: Unification Model and Its Goal - Young Ho PARK

북-중경제관계의 밀착현황과 김정은시대의 북-중경협의 전망 - 권영경
Prospect of North Korea and China’s Economic Relations for the Kim Jong Un Era - Young Kyong KWON


SESSION 2 한반도 정세

새로운 관점에서 남북교류협력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 김성민(Sung Min KIM)
North-South Exchanges and Cooperation Era Should Be Opened from a New Point of View

국가권력 전환기 남한의 대북정책과 평화 통일 외교 - 유호열(Ho Yeol YOO)
Diplomacy of Peaceful Unification and South Korea’s Policies on North Korea during
the South Korea’s Transition Period

한반도 통일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 공진화 전략과 인식공동체 강화 - 김용호 (Yong Ho KIM)
New Approaches to Change in North Korea, Diplomacy for Korean Unification and New Order in Northeast Asia

김정은 체제 출범과 정책적 과제 : 제도 변화와 대남 대외정책 - 진희관(Hee Gwan CHIN)
Kim Jong Un’s Leadership and Political Tasks : Change System and South Korea and Foreign Policy

북 핵 문제와 6자 회담 - Alexander ZHEBIN
The Six-Party Talks on North Nuclear Issue

남한사회 남남갈등의 양상과 해소방안 모색 - 주봉호(Bong Ho JU)
Aspect of Conflict in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within South Korea and Seek for Solution to Overcome


Day 2


SESSION 3 한반도 국제정치

정전협정에서 평화협정으로의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 - 정상모
The Transition from Ceasefire to Peace Agreement Must Be Preceded - Sang Mo CHUNG

미국과 북한의 핵 대립과 지역안보 - Peter BECK
The U.S. and North Korea: Nuclear Preponderance and the Erosion of Regional Security

전환시대 중국의 한반도 정책과 목표 - 이상숙
China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in a Time of Change - Sang Sook LEE

한반도 문제에서 러시아의 위치와 역할 - Yuri AKIMO
Russia's Position and Role in the Korean Peninsula Issue

일본의 이해와 야망 - 배광웅
Japan’s Interest and Ambition - Kwang Woong BAE


SESSION 4 한반도와 국제관계

북한체제의 변화와 연속성 - Glyn FORD
Continuity through Change: North Korea’s Second Succession

북한 김정은 체제의 경제적 활동과 EU의 역할 - Ruediger FRANK
Economic Performance Based Legitimacy of Kim Jong Un’s North Korea and the Role of the EU

아세안의 경험, 동아시아 공동체의 꿈, 그리고 한반도 평화 - 임반석
ASEAN’s Experience, Desire of East Asian Community and the Peace of Korean Peninsula - Ban Seok YIM

북한안정과 지역안보를 위한 중국의 역할 - Rajaram PANDA
China’s Role for North Korea’s Stability and Regional Security

동아시아 민주공동체 형성의 전망 - 안성호
Prospect on Establishment of East Asia Democratic Community - Sung Ho AHN

글로벌 코리아의 한국학 - 이지원
The Korean Studies for Global Korea - Ji Won LEE


SESSION 5 글로벌 코리안 소사이어티와 다문화 사회

한상경제공동체의 성격과 시대적 역할 - 윤조셉
The Role and Character of Korean Economic Community - Joseph YOON

세계한상대회 10년 평가와 발전방안 - 김재기
Evaluation of 10years-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nd Its Developmental Suggestion - Jae Gi KIM

한중 수교 이후 조선족사회의 변화: 탈지역화와 정체성의 혼란과 갈등 - 리단
Change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 Dan LI

동남아 다문화사회와 아시아의 정체성 - Eden L. LAYDA
Multicultural Society and Asian Identity in Southeast Asia

한국의 미래를 위한 ‘다문화 가정 & 어린이’ 용어의 민족주의 개념과 다문화주의 모순 고찰 - 이수경
Consideration on Contradiction of Multiculturalism and Concept of Nationalism
in Korea Society by term of ‘Multicultural Family & Children’ - Soo Kyung YI

다문화사회와 아시아의 정체성 그리고 한민족 - 정숙경
Multicultural Society, Identify in Asia and the Koreans - Sook Kyung JUNG

서평
  •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2023) 재외동포에 대한 내국인 인식조사 (2023) 재외동포에 대한 내국인 인식조사 재외동포청 편 재외동포청 2024
(2023) 재외동포 한민족 정체성 함양지수 조사 (2023) 재외동포 한민족 정체성 함양지수 조사 재외동포청 편 재외동포청 2024
한국과 국제정치. 124 (제40권 제1호, 2024 봄) : <특집> 북미관계와 국제정치이론 한국과 국제정치. 124 (제40권 제1호, 2024 봄) : <특집> 북미관계와 국제정치이론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편] 경남대학교 출판부 2024
北朝鮮研究の新地平 = New Horizons of North Korean Studie : 理論的地域研究の模索 北朝鮮研究の新地平 = New Horizons of North Korean Studie : 理論的地域研究の模索 中戸祐夫,崔正勲 編著 晃洋書房 2022
北朝鮮の対外関係 = External Relations of North Korea : 多角的な視角とその接近方法 北朝鮮の対外関係 = External Relations of North Korea : 多角的な視角とその接近方法 中戸祐夫,森類臣 編著 晃洋書房 202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