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메인이동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조선문학사
조선문학사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조선문학사 /안함광 저
개인저자
안함광
발행사항
서울:한국문화사,1999.
형태사항
666 p. ;23 cm
ISBN
9788977356696
이용제한사항
일반
비통제주제어
조선문학, 문학사,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소장처 등록번호 청구기호 도서상태
1 북한자료센터 / 7층 국내서 EM63832 810.9 안92ㅈ 서가배치
목차


1900 ∼ 1910년의 문학.
이 시기의 사회 정치 정세와 반일 애국 운동으로서의 계몽 문화 운동 = 1
교육 운동 = 2
출판 문화 활동 = 4
국문 운동 = 6
이 시기 문학의 전통으로서의 실학파 사상 및 계몽기 문학의 일반적 특징 = 9
이 시기 문학의 개관 = 17
번역 정치 소설 = 17
민족 영웅들의 전기물 = 21
이 시기의 시가 문학 = 23
소설 문학 = 30
이 시기의 반동 문학 = 34
이 시기 진보적 문학의 력사적 제약성과 문학사적 의의 = 36


1910 ∼ 1919년의 문학.
일제의 조선 강점과 당시의 객관적 정세 = 41
이 시기 생활 현실을 사실주의적으로 표현한 문학 = 42
이 시기의 반동적 부르죠아 문학 = 47


1919 ∼ 1930년의 문학.
3·1 운동의 력사적 의의와 조선에서의 로동운동의 대두 = 52
조선 프로레타리아 문학의 대두 그것의 형성 및 장점 과정의 주요한 문학적 사실 및 의의 = 58
이 시기 문학의 개관 = 68
이 시기의 산문 문학 = 68
이 시기의 시가 문학 = 99
조선 프로레타리아 문학의 대두와 자연주의 문학을 반대한 그의 투쟁 = 111
포석 조명희 = 121
최서해 = 138
리상화 = 151
김소월 = 161
이 시기 조선 자연주의 문학의 반동성 = 170


1930 ∼ 1945년의 문학.
이 시기 문학의 사회 정치적 배경 = 177
이 시기의 문학의 개관 = 180
김일성 원수가 지도한 조선 인민의 항일 무장 투쟁 과정에서 나타난 문학 = 196
이의 자료에 대하여 = 196
혁명적 연극들에 대하여 = 198
혁명 가곡들에 대하여 = 203
기타 문학 작품들에 대하여 = 213
리기영 = 215
그의 생애와 문학 활동 = 215
≪서화 (鼠火)≫ = 223
장편 ≪고향≫ = 229
ㅡ이 작품의 테마와 시대적 배경 = 229
ㅡ이 작품의 구성 = 231
ㅡ주인공 김희준의 형상 = 235
ㅡ일련의 젊은 세대들의 형상 = 239
ㅡ≪고향≫의 사상성과 문학사적 의의 = 241
≪봄≫ = 245
ㅡ테마 = 245
ㅡ주요 인물의 형상 = 245
ㅡ사상적 내용 = 250
한설야 = 253
그의 생애와 문학 활동 = 253
장편 ≪황혼≫ = 262
ㅡ테마 = 262
ㅡ구성 슈제르적 요소에 대하여 = 263
ㅡ주요 인물들의 형상 = 268
ㅡ이 작품의 사상적 특질과 문학사적 의의 = 273
≪청춘기≫ = 276
장편 소설 ≪탑≫ = 286
ㅡ테마 = 286
ㅡ주요 인물들의 형상 = 290
ㅡ형상적 특질 = 299
ㅡ사상적 의의 = 301
력사 소설 ≪림꺽정≫ / 홍명희 = 303
이 작품의 주요 인물 = 304
주인공 림꺽정의 형상 = 309
사상 - 테마적 의의와 형상의 특질 = 312
이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 319
장편 ≪인간 문제≫ / 강경애 = 321
부르죠아 문학을 반대하는 투쟁에서의 프로레타리아 문학의 승리 = 332


1945년 이후의 문학.
서론 = 339
민주주의적 현실은 조선 문학 발전의 기초다 = 340
우리 문학의 창작 방법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다 = 343
해방 후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문학 발전에 있어서의 조선 로동당의 지도적 역할 = 349
해방 후 우리 문학 발전에서의 쏘베트 문학의 영향 = 356
문학 발전의 일반적 개괄 = 360
    평화적 민주 건설 시기의 문학 (1945 ∼ 1950)
사회적 환경과 문학의 과업 = 366
이 시기 문학 예술 분야에서의 당의 제반 시책 = 368
8·15 해방의 감격과 제반 민주 개혁 및 인간의 장성을 테마로 한 작품들 = 376
로동에 대한 새로운 사상을 테마로 한 작품 = 384
조쏘 친선을 테마로 한 작품들 = 391
남 반부 인민들의 투쟁을 테마로 한 작품 = 399
력사적 사실의 테마 = 407
ㅡ혈로 = 408
ㅡ《백두산》기타 = 411
조기천 = 416
ㅡ그의 생애와 문학 활동 = 416
《백두산》 = 419
이 작품의 테마 = 419
슈제트 - 구성 = 422
주요 인물의 형상 = 429
ㅡ형상의 특질 = 438
《생의 노래》 = 443
서정 서사시편들 = 453
《우리의 길》, 《항쟁의 려수》, 기타 = 454
서정시편들 = 459
그의 시 문학의 특질 = 467
    조국 해방 전쟁 시기의 문학.
조국 해방 전쟁의 개시와 문학의 과업 = 474
조국 해방 전쟁 초기의 문학의 개관 = 476
문학에 대한 당의 제시책, 특히 김일성 원수의 《격려의 말씀》의 구체적 내용과 강령적 의의 = 482
인민의 불패성을 테마로 한 작품 = 498
인민 군대의 영용성을 테마로 한 작품 = 511
미제의 만행 폭로를 테마로 한 작품 = 521
국제 친선을 테마로 한 작품 = 527
력사를 테마로 한 작품 = 533
조선 로동당 중앙 위원회 제5차 전원 회의에서의 김일성 원수의 보고를 받드는 문학 대렬내에서의 반종파 투쟁의 전개 = 535
    전후 인민 경제 복구 건설 시기의 문학 (1953.7 ∼).
사회적 환경과 문학의 과업, 문학에 대한 당의 제반 시책 = 548
이 시기의 산문 = 555
이 시기의 시 문학 = 564
이 시기의 극 문학 = 577
한설야 = 584
8·15 해방 이후 시기에 있어서의 그의 문학 활동 = 584
삼부작 《대동강》 = 590
ㅡ주제 = 590
ㅡ구성 = 591
ㅡ긍정적 주요 인물들의 형상 = 597
ㅡ젊은 세대들의 형상 = 602
ㅡ부정적 인물들의 형상 = 604
ㅡ이 작품의 사상성 = 608
《력사》 = 613
ㅡ작품의 력사적 배경과 테마에 대하여 = 613
ㅡ작품의 구성 - 슈제르적 요소에 대하여 = 617
ㅡ인물들의 형상 = 621
ㅡ작품의 사상적 의의와 그의 문학사적 의의 = 626
리 기영 = 627
8·15 해방 이후 시기에 있어서의 그의 문학 활동 = 627
《땅》 = 629
ㅡ테마 = 629
ㅡ주인공 곽 바위 = 630
ㅡ기타 주요 인물들 = 633
ㅡ사상적 의의 = 638
《두만강》 = 641
ㅡ시대적 배경과 주제 = 641
ㅡ주요 인물의 형상 = 642
ㅡ구성 및 형상의 특질 = 654
ㅡ사상 - 테마적 특질 = 660

서평
  •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Rewriting Revolution : Women, Sexuality, and Memory in North Korean Fiction Rewriting Revolution : Women, Sexuality, and Memory in North Korean Fiction by Immanuel Kim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2
북한문학비평사 북한문학비평사 김성수 저 역락 2022
한반도의 평화문학을 상상하다 : 21세기 북한문학의 현장 한반도의 평화문학을 상상하다 : 21세기 북한문학의 현장 오태호 지음 살림터 2022
전후 북한 문학예술의 미적 토대와 문화적 재편 전후 북한 문학예술의 미적 토대와 문화적 재편 남북문화예술연구회 편 역락 2018
전쟁과 북한 문학예술의 행방 전쟁과 북한 문학예술의 행방 남북문학예술연구회 편 역락 201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