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메인이동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북한의 문화정전, 총서 '불멸의 력사'를 읽는다=Reading the series of 'The imperishable history', the cultural canon of the North Korea
북한의 문화정전, 총서 '불멸의 력사'를 읽는다=Reading the series of 'The imperishable history', the cultural canon of the North Korea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북한의 문화정전, 총서 '불멸의 력사'를 읽는다=Reading the series of 'The imperishable history', the cultural canon of the North Korea/강진호 외 지음.
개인저자
강진호
정창현
신주백
신형기
장해성
유임하
공임순
김은정
남원진
김한식
이승윤
오태호
전영선
박선영
김성수
김원경
발행사항
서울:소명출판,2009.
형태사항
386 p.24 cm
총서사항
총서 '불멸의 력사'연구;1
ISBN
9788956264134
9788956264127(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377-381)과 색인수록
이용제한사항
일반
기금정보주기
2007년도 정부재원(교육인적자원부 학술연구조성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지원을 받음
비통제주제어
불멸의역사,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소장처 등록번호 청구기호 도서상태
1 북한자료센터 / 7층 국내서 EM83 813.609 북91ㅂ v.1 서가배치
목차

[한글]책을 내면서 = 3
총론
'총서'라는 거대서사 혹은 허위의식 / 강진호[성신여대]
1. '북한'이라는 타자 = 17
2. '총서'의 창작 배경과 구성적 특성 = 21
3. '총서'의 내용과 원근법 = 27
4. '총서'의 상징성과 의미 = 37
제1부 '총서'의 안팎
김정일의 문예정책과 총서 '불멸의 력사'의 성립 / 정창현['민족21' 편집주간]
1. 총서 '불멸의 력사'는 북한 혁명전통 연구의 연장선상에 있다 = 44
2. 1967년이 항일혁명문학 등장의 전환점 = 46
3. 전 주민의 필독서로 노동당 정책에 따라 개작 = 49
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되짚어 보기 / 신주백[국민대]
1. 1931년의 전사(前史) - 1929년 이후 각자의 길을 간 민족운동 세력 = 52
2. 過程 1 - 일본의 만주침략(1931.9)과 무장투쟁의 일상화 = 58
3. 過程 2 - '이중의 임무' 재개와 재만조선인조국광복회 = 63
4. 운동의 맥락 짚기 = 68
총서 '불멸의 력사'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신형기[연세대]
1. '불멸의 력사'란 = 79
2. '불멸의 력사'가 쓰인 과정 = 82
3. 내용 형식적 특징 = 84
4. '불멸의 력사'가 한 역할 = 86
주체사상과 총서 '불멸의 력사' / 장해성['NK지식인연대' 편집주간]
1. 북한 주체사상 성립 과정에 대하여 = 88
2. 총서 '불멸의 력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 92
제2부 '총서'의 미시적 읽기
총서 '불멸의 력사'의 기획 의도와 독법 / 유임하[한국체대]
1. 서론 = 99
2. 총서의 기획 의도와 정치적 배경 = 101
3. '총서'의 독법 - '평화적 민주건설기'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 108
4. 결론 = 116
'총서'의 탈식민적 시각과 메타 담론 / 공임순[서강대]
1. 전지구적 냉전 체제와 지역화(토착화)의 역학 = 119
2. 해방기 김일성의 청년상에 대한 남북한의 상징 투쟁과 좌절된 '(재)민족화'의 기획들 = 125
3. 총서 '불멸의 력사'를 통해서 본 항일무장투쟁의 역사적 기념비화/물질화 = 136
4. 결론을 대신하여 - 혁명의 '유산' 아래 갇힌 북한 사회의 딜레마 = 146
총서와 인물 유형 / 김은정[한국외대]
1. 서론 = 148
2. 인물유형과 분류 방법 = 151
3. 절대자와 '주체형 공산주의자'의 관계 = 158
4. 절대자와 적대계층의 관계 = 166
5. 결론 = 176
'혁명적 대작'의 이상과 '총서'의 근대적 문법 / 남원진[건국대]
1. '신화'와 '소설'의 사이 = 178
2. '혁명적 대작'의 이상 = 180
3. '총서'의 근대적 문법 = 203
4. 근대문학의 탐욕성 = 211
소설과 기억의 정치학 / 김한식[상명대]
1. 북한 문학을 보는 관점 = 214
2. 총서 '불멸의 력사'와『영생』의 위치 = 218
3.『영생』의 배경과 이념 = 222
4. 소설의 기억과 현실 정치 = 228
5.『영생』의 주제와 의미 = 233
'총서'에 나타난 해방기 북한의 국가 만들기 기획과 서사의 균열 / 이승윤[연세대]
1. 북한문학에서 '총서'가 놓인 자리 = 235
2. '민족 간부'의 양성과 국가 만들기의 기획 = 239
3. 인텔리 포섭의 과정과 서사의 균열 = 243
4. 부정선(線)의 도입과 수령형상의 창조 = 248
5. 남은 과제들 = 256
최학수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수령 형상의 의미 고찰 / 오태호[경희대]
1. 서론 = 258
2. 총서와 수령 형상의 의미 = 261
3. 총서『백두산 기슭』(1978)에 나타난 수령 형상 = 264
4. 총서『압록강』(1983)에 나타난 수령 형상 = 268
5. 총서『개선』(2002)에 나타난 수령 형상 = 272
6. 장편소설『평양시간』(1976)에 나타난 수령 형상 = 274
7. 결론 = 278
제3부 '총서' 읽기의 확장
총서 '불멸의 력사'의 문학적 성격과 혁명예술의 대중설득 전략 연구 / 전영선[단국대]
1. 서론 = 283
2. 총서 '불멸의 력사'의 문학적 특성 = 285
3. 소설과 영화를 통한 혁명이념의 대중화 전략 = 290
4. 결론 = 301
혁명가요 가사의 정서통합과 선동성 / 박선영[성신여대]
1. 들어가는 말 = 303
2. 혁명가요의 기원과 작품창작 원리 = 306
3. '불멸의 력사' 속 혁명가요의 분류 = 309
4. 통합과 선동의 메커니즘 = 311
5. 나오는 말 = 325
수령문학의 문학사적 위상 / 김성수[성균관대]
1. 문제 제기 - 총서에 대한 역사주의적 접근 = 328
2. 총서 '불멸의 력사'의 위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 = 330
3. 총서 '불멸의 력사'의 문학사적 위상 = 341
4. 마무리 = 347
하이퍼링크 DB를 이용한 메타텍스트 연구 방법 / 김원경[고려대]
1. 서론 = 354
2. 메타텍스트의 개념과 특성 = 356
3. 하이퍼링크 DB의 구성 = 362
4. DB 정보를 이용한 텍스트 분석 = 367
5. 결론 = 375
참고문헌 - 총서 '불멸의 력사' = 377
찾아보기 = 383

[영문]

서평
  •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총서 '불멸의 력사' 용어사전 = Dictionary of the series of 'The imperishable history 총서 '불멸의 력사' 용어사전 = Dictionary of the series of 'The imperishable history 강진호 ,유임하 소명출판 2009
총서 '불멸의 력사' 해제집 = Explanation of the series of 'The imperishable history(of North Korea)' 총서 '불멸의 력사' 해제집 = Explanation of the series of 'The imperishable history(of North Korea)' 강진호 ,유임하 소명출판 2009
한인문화와 트랜스네이션=Korean culture and transnation 한인문화와 트랜스네이션=Korean culture and transnation 이영미 지음 한국문화사 2009
(위대한 령도, 빛나는 업적)주체소설문학건설 (위대한 령도, 빛나는 업적)주체소설문학건설 오승련 저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4
북한 역사소설의 재인식 북한 역사소설의 재인식 임옥규 [지음] 역락 200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