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메인이동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북한의 민족가극
북한의 민족가극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북한의 민족가극 /고상미 ,안경모 ,이성곤 ,전영선 ,정혜진 ,천현식 ,최유준 ,한룡길 지음
개인저자
고상미
안경모
이성곤
전영선
정혜진
천현식
최유준
한룡길
발행사항
서울 :국립국악원,2019
형태사항
310 p. :삽화,표,악보 ;22 cm
총서사항
국립국악원 한민족음악총서 ;7
ISBN
9791189132293
서지주기
참고문헌: p.292-306
이용제한사항
일반
비통제주제어
북한 가극, 북한 음악, 민족 가극, 피바다, 춘향전, 무대 미술,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소장처 등록번호 청구기호 도서상태
1 북한자료센터 / 7층 국내서 EM6688 679.59 고51ㅂ 서가배치
목차


01 북한 민족가극에 대한 이해 |천현식|
머리말 13
사회주의 미학과 현실의 이야기 14
사실주의 음악극과 감정훈련 14
공연장과 현실사회의 일체화 15
맺음말: 민족문화 중심의 민족가극<춘향전> 17
02 북한 민족가극 창작 방향과 특성:대본을 중심으로|전영선|
머리말 23
혁명가극<피바다> 이전의 민족가극 창작양상 24
민족가극의 개념정립과 전개 양상 27
혁명가극 <피바다> 이후의 민족가극 48
맺음말 63
03 '<피바다>식 민족가극' <춘향전>의 음악에 대하여 |최유준|
머리말: '쉬운 음악'과 음악재료의 균질화 69
민족가극<춘향전>의 음악극적 장치 71
주제가의 배치와 서사적 구조 78
맺음말: 북한음악의 거꾸로 선 근대성 86
04 북한 민족가극 성악의 전통성:<춘향전>을 중심으로 |고상미|
머리말 91
북한의 민족성악 93
창극 <춘향전>의 역사 115
1964년 <춘향전> 118
1988녀 <춘향전> 125
맺음말
05 '<피바다>식 민족가극' <춘향전>에 체현된 무용의 특징 |한룡길|
머리말 137
가극무용의 형성토대 138
민족가극 <춘향전>의 무용장면들에서 체현된 예술적 창조성 140
가극무용의 특징 148
맺음말 151
06 북한의 민족가극 <춘향전>에 나타난 연극미학적 특징 |이성곤|
머리말 155
민족가극 탄생 배경: 조선민족제일주의 160
민족가극 <춘향전>의 '기본핵': 봉건적 신분제도의 반동성 165
역사발전의 주체, 노동하는 서민들 170
'<성황당>식 연극'의 연기술과 민족가극 <춘향전> 174
형식적 창작원리:다장면 구성형식과 흐름식 입체무대, 그리고 '암전'의 발견 190
맺음말 196
07 '<피바다>식 가극' 무대미술의 특징과
민족가극 <춘향전>으로의 계승양상 |안경모|
머리말 201
'<피바다>식 가극' 무대미술의 특징 203
민족가극 <춘향전>으로 계승된 '<피바다> 식 가극'무대미술 233
맺음말 252
08 재일 조선예술인의 가극 전승사:성악가 정호월의 구술을 중심으로 |정혜진|
머리말 259
초기 재일 조선예술단의 공연 양상 261
재일 조선예술의 획기적 발전 265
금강산가극단의 결성과 귀국후의 활동 276
맺음말 282
부록 286

참고자료 291
지은이소개 307

서평
  •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