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메인이동

일반국민은 물론 국내외의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자에게 북한관련 정보자료를 제공합니다.

분단체제의 노동 : 북한출신주민이 경험한 남북한의 직업세계
분단체제의 노동 : 북한출신주민이 경험한 남북한의 직업세계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분단체제의 노동 :북한출신주민이 경험한 남북한의 직업세계 /김화순 지음
개인저자
김화순
발행사항
서울 :선인,2019
형태사항
372 p. :삽화,표 ;23 cm
ISBN
9791160681871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59-370
이용제한사항
일반
기금정보주기
이 책은 2014년도 한국연구재단 저술성과확산사업에 선정되어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됨
비통제주제어
노동, 노동 시장, 노동자, 탈북자, 탈북민, 새터민, 북한이탈주민, 직업, 일자리,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소장처 등록번호 청구기호 도서상태
1 북한자료센터 / 5층 국내서 EM7014 321.52 김89ㅂ 서가배치
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북한 노동사회와 생존의 정치
여는 글_ 떠나는 자와 남은 자 -17

1장_ 북한 사람들이 사는 법 -19
어떤 이발사의 일상
1. 들어가는 말
2. 북한의 직업세계와 일의 유형
3. 북한 주민들의 생계유지 전략: 어떻게 소득을 얻고 있는가?
1) 공식일 종사자가 사는 법
2) 비공식 부문 공식일 종사자가 사는 법
3) 이중일 종사자가 사는 법
4) 8.3노동자
4. 시장화 이후 북한 직업질서의 재구성

2장_ 북한 노동공간의 이원화: 공장과 장마당-42
1. 2000년대 이후 북한의 ‘국가-노동’의 관계
2. 남성의 공간, 공장과 기업소
1) 국가계획 생산이 이루어지는 공식부문
2) 비공식부문의 노동시장 영역
3. 여성의 공간, 북한의 장마당
1) 장마당의 역사
2) 장마당은 여성친화적 공간인가
3) 시장의 진화
4) 저항의 장마당

3장_ 북한의 ‘공장사회’와 노동자 -69
1. 노동자들은 왜 출근하는가?
2. 북한 공장사회의 운영원리와 노동행위자들
1) 중앙직할 산하 연합기업소의 운영실태
2) 지방산업 공장기업소의 운영체계
3. 노동행위자들과 위계적 구조
1) 노동의 위계
2) 간부: 당간부와 행정간부
3) 핵심노동자: 충성과 사익의 이중적 추구
4) 기층노동자와 기업별 식량공급 상황
5) 주변노동자: 비생산조직
6) 비사회주의 개인 노동자: 8.3노동자 외

4장_ 7.1조치 이후 공장사회 내 사회적 관계의 변화-93
1. 중앙직할관리 기업소와 지방산업공장 간 식량공급의 불평등 심화
2. 간부와 노동자 간 배급의 불평등 확대
3. 7.1조치 이후 노동자들의 시장활동 허용과 새로운 담론의 형성
4. 공장 내 행위자들의 사회적 관계 변화
5. 북한 공장사회와 생존의 정치: 비사회주의라도 해서라도 지키려는 그것은 무엇인가?

5장_ 신 충성(忠誠)노동자들: 비사회주의로 사회주의 지키기 -106
1. ‘사회주의 위해 비사회주의’하는 충성노동자
2. 생존을 위해 ‘조절’하는 충성노동자들
3. 그래도 함께 하는 공장 공동체

6장_ 국가와의 불화, 다섯 북한 여성들의 삶과 일 -116
1. 신소에 휘말린 여교사 목련의 이야기
2. 외화벌이 회사의 부기 자스민의 이야기
3. 화폐개혁의 직격탄을 맞은 조중접경지역의 밀무역꾼, 민들레 이야기
4. 장마당의 터주대감 원추리 이야기
5. 모성의 여맹위원장 선인장 이야기

7장_ 직행 탈북이주자의 노동이동과 탈북 -133
1. 탈북현상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북한사회에서 노동이동의 유형
3. 북한주민은 왜 탈북하는가?
1) ‘국가에서 벗어나기’: 집단노동참여형의 탈북사유
2) 문명한 세계에의 기대와 자유인의 등장: 개인이익추구형의 탈북사유

제2부 북남이동과 직업전환
여는 글_ 다시 생존의 경쟁선에 서다-155

8장_ 아! 대한민국과 조기정착: 식량난민 세대들의 입국을 중심으로-158
1. 국적취득과 신분상승
2. 남한사람의 성공과 북한사람의 성공

9장_ 북한사람 남한에서 일자리 구하기: 식량난민 세대의 노동시장 진입 -173
1. 빗나간 기대: 공공취업지원
2. ‘북한사람이라는 이유로’ 차별받는다는 생각
3. 구직 장벽(Barrier of Getting a Job)
4. 직업전환: 상향이동과 하향이동

10장_ 취업눈높이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 2005년 정착지원법 개정전 시기를 중심으로
1. 북한출신주민은 취업의지가 없는가? -188
2. 취업눈높이 형성의 조건과 적응전략
3. 취업눈높이의 다이내믹스
4. 맺음말: 취업의지 결핍담론의 허구성

11장_ 일터, 타자(他者)들의 공간 -214
1. 직무능력의 부족
2. 남북 노동관행과 직장문화의 이질성
3. 대처와 파국

12장_ 북남이동과 직업전환 -223
1. 들어가는 말
2. 직업관련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북한출신주민의 북남이동과 직업전환
5. 고난의 행군기 노동자 의식의 변화: “우리는 전처럼 그렇게 돌아가지는 못할 것이다”
6. 제3국에서 탈북자의 일자리 유형
7. 직업전환의 특성과 함의

13장_ 북한출신주민 고용기업의 특성과 채용의사 -282
1. 문제의 인식
2. 연구 자료
1) 질적 자료
2) 양적 자료
3. 노동력 수요요인 및 특성
1) 채용동기에 따른 기업체 유형분류
2) 북한출신 고용기업체의 특성

14장_ 남한기업의 북한출신주민 노동력 평가 -303
1. 북한출신주민 노동력 활용과 장애요인
2. 노동력 평가: 내국인·외국인·북한출신 간 비교
1) 노동력 비교평가
2) 북한출신주민을 채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3) 기업은 외국인, 내국인, 북한출신 중 어떤 인력을 선호하는가?
4) 북한출신을 더 많이 채용하고 싶은 이유
3. 결론 및 시사점

제3부 남한 노동시장에서 북한 노동경험은 유용한가
여는 글_ 북한주민이 일자리를 찾아 남하한다면 남한 노동시장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까? -321

15장_ 북한 노동경험은 남한 노동시장에서 북한출신주민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324
1. 문제의 인식
2. 선행논의와 본 논문의 성격
1) 남한 노동시장과 북한출신주민 고용관련 선행 논의
2) 기초생계비 수급자 비율 왜 높은가?
3) 남한 거주기간이 증가하면 고용율도 올라갈 것인가?
3. 코호트 효과(cohort effect)와 동화효과(assimilation effect)의 비교: 해외 이주민 인적자본 연구가 주는 함의

16장_ 남한에서 북한출신주민 일자리 결정요인-338
1. 연구 가설
1) 변수의 정의 및 측정
2) 조사 개요 및 자료
2. 남한에서 북한출신주민의 일자리 결정요인
1) 취업결정요인
2) 임금효과
3) 기초생계급여 결정요인
3. 코호트효과와 동화효과
1) 코호트효과: 북한 ‘일유형’과 남한 ‘고용’ 간의 인과관계
2) 동화효과: 거주기간이 미치는 영향
4. 요약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359
출전-371

서평
  •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분단체제의 노동 : 북한출신주민이 경험한 남북한의 직업세계 분단체제의 노동 : 북한출신주민이 경험한 남북한의 직업세계 김화순 지음 선인 2019
북한 노동시장의 현황 북한 노동시장의 현황 오상봉...[등]저 한국노동연구원 2018
북한 노동시장의 현황 북한 노동시장의 현황 주관연구기관: 한국노동연구원 ;협력 연구기관: 북한대학원대학교 한국노동연구원 2018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변동 및 취업지원제도 평가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변동 및 취업지원제도 평가 박성재 [외] 집필 한국노동연구원 201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